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빠른 수영에 대한 고민

몇주전 글에서 나의 인생 운동은 수영이라고 했고,

주중 강습 참여가 힘들어 나만의 주말 운동 루틴으로 유지함을 얘기했다.

 

성인이 되고나서 약간은 늦게 시작한 수영이라, 청년으로 칭할수 있는 수영인들의 스피드를 쫓아갈 힘이 부족함을 느끼고

편안하게 오래하는 수영을 지향하는 편이다. 물론 잘 하는 수영인들은 빠르기도 하고 장거리 수영에도 능함을 부인하기 어렵다.

 

오래하는 수영을 추구하려니 편안하게 힘이 덜 드는 나만의 방식으로 킥은 2비트, 팔 젖기는 물을 제대로 잡지못하고

팔을 흘려버리는 맥빠진 그래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50m 풀 10바퀴를 도는데 20분을 훌쩍 넘기다보니 체력 소모가 많은거 같다. 좋은 해결방법은 혼자서는 찾기는 쉽지않을 것 같다. 강습이 필요할것이다.

하지만 나는 주말수영이 루틴이다. 나름의 강습서 기본 내용을 정리해보고 이를 따라보려한다.  

 

 

■ 수영 자유형을 빠르게할 수 있는 팁

 

제 기준, 수영 10년차가 자유형 스피드를 올리기 위해서는 현재 수준에서 더욱 정교한 훈련이 필요하다.

이미 경험이 있는 만큼 기술을 세밀하게 조정하고, 고급 훈련 방법을 활용하여 스피드를 높일 수 있다.

아래는 자유형 스피드를 올리는데 도움된다고 해서 찾아본 보편적인고 일반적인 몇 가지 훈련 방법. 

 

1. 손의 위치나 킥의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는 드릴 진행

   -> 결국은 하이엘보캐치 유지와 박자감이 유지되는 발차기

 

2. 인터벌 훈련

    짧은 시간 동안 최고 속도로 수영을 반복하는 훈련, 이는 스피드와 지구력을 동시에 향상

    -> 강습에서는 용이하나 주말 수영에는 방해요인이 많음 

 

3. 스피드 훈련
    정해진 거리를 최대한 빠르게 수영, 예를 들어, 50미터나 100미터를 최단 시간 내에 완주,

    -> 시간 측정을 통한 향상 정도 점검

 

4. 유산소 훈련

    꾸준한 장거리 수영의 지속을 통해 지구력을 높이는 유산소 훈련

    -> 체력 보강

 

5. 저항 훈련

    저항 장비를 사용하거나 고강도의 수영장 흐름에서 수영하는 훈련

    -> 수영근력 강화, but 전문 선수가 아니어서 하기힘든 과정

 

6. 턴 훈련

    자유형의 속도를 높이는 턴 기술,이 필요합니다. 벽에서 빠르게 밀어내고 수영에 이어지는 동작

 

7. 킥 기술 강화

    킥보드를 사용하여 집중적으로 연습

    -> 강습이 아닌 경우 수영장에서 허락치않은 훈련방법

 

8. 유연성 강화

    수영 전후로 스트레칭

    -> 안전 차원에서 반드시 하는 편임

 

주말 수영에서 혼자 가능한 방법이 있기는 하나 쉽지않은 과정도 있는것 같다.

결국은 지속적인 훈련과 자세, 스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결말이다. 

반응형